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리샘플링
- 확률모형
- 모집단
- 상관계수
- 통계면접
- 베타분포
- 확률밀도함수
- 표본
- 선형대수
- 공분산
- 검정
- 데이터분석
- Transformer
- 고유값
- 데이터분석면접
- Self-attention
- 고유벡터
- 누적분포함수
- 확률변수
- 샘플링
- ViT
- 조건부확률
- 확률분포
- 신뢰구간
- 평균
- 모평균
- 통계
- 검정력
- p-value
- 확률
- Today
- Total
AIMS Study Blog
중심극한정리 본문
√중심극한정리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.
확률론과 통계학에서 중심 극한 정리(中心 極限 定理, 영어: central limit theorem, 약자 CLT)는 동일한 확률분포를 가진 독립 확률 변수 n개의 평균의 분포는 n이 적당히 크다면 정규분포에 가까워진다는 정리이다.
정규분포인 모집단에서 여러 번 추출한 여러 표본들의 평균들을 가지고 만든 확률분포가 표본평균분포라고 하는데, 이 각 표본들의 크기가 커질수록 모집단인 정규분포에 가까워진다는 정리이다.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, 모집단이 평균이 µ, 표준편차가 σ인 정규분포를 따를 때, 표본의 크기가 충분히 큰 n일 경우 표본 평균들이 이루는 분포는 평균이 µ, 표준편차가 σ/√n인 정규분포에 근접하게 된다.
중심극한정리가 중요한 이유는, 정의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, 충분히 크기가 큰 표본만을 가지고 모집단의 분포를 추론할 수 있는 확률적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.
reference
https://ko.m.wikipedia.org/wiki/%EC%A4%91%EC%8B%AC_%EA%B7%B9%ED%95%9C_%EC%A0%95%EB%A6%AC
중심 극한 정리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
확률론과 통계학에서 중심 극한 정리(中心 極限 定理, 영어: central limit theorem, 약자 CLT)는 동일한 확률분포를 가진 독립 확률 변수 n개의 평균의 분포는 n이 적당히 크다면 정규분포에 가까워진다
ko.m.wikipedia.org
https://drhongdatanote.tistory.com/57
[개념 통계 17] 중심극한 정리는 무엇이고 왜 중요한가?
안녕하세요. 홍박사입니다. 정말 오랜만에 포스팅을 합니다. 바쁘다는 핑계로 계속 포스팅을 미뤄오다가 마음을 다잡고 짧은 호흡으로라도 포스팅을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
drhongdatanote.tistory.com
'통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Information Gain와 Entropy (1) | 2023.03.12 |
---|---|
정보 엔트로피와 정보 이득(Information Gain) (0) | 2023.03.12 |
평균(Mean)과 중앙값(Median) (0) | 2023.02.26 |
중심 극한 정리 (0) | 2023.02.26 |
산술 평균과 중앙값 (0) | 2023.02.26 |